Monolithic 서버사이드 타입스크립트 세팅 03

Monolithic 서버사이드 타입스크립트 세팅 03

이놈의 Hexo 블로그가 future라는 옵션을 켜면 미래 글까지 보여준다는 걸 처음 알았다. 원래 2편이 12일에 올라가길 바랐던 글인데, 3시간 후라는 이름으로 11일에 올라갔다, 귀찮기 때문에 내리진 않았다.

이 주제로 마지막 글이다. 이번 글에서는 도커라이징을 해서 로컬 개발 환경을 구성하고, 개발 서버, 운영 서버로 나눠서 배포할 수 있는 환경 구성을 해보려고 한다. 도커라이징과 관련된 내용은 과거에 개발 환경과 관련된 글을 썼는데, 그 글에서 조금 더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긴 하다. 지금까지 진행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자세히 보기
Monolithic 서버사이드 타입스크립트 세팅 02

Monolithic 서버사이드 타입스크립트 세팅 02

지난 글에서 두 가지를 완료 했었다. 물론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tsconfig, webpack까지만 잘 설정하고 나면, 확인은 가능할 것 같다. 맨 처음 목차와는 조금 다르긴 한데, tsconfigwebpack을 먼저 설정한 다음 스웨거를 설정하도록 하자.

자세히 보기
Monolithic 서버사이드 타입스크립트 세팅 01

Monolithic 서버사이드 타입스크립트 세팅 01

자바스크립트 대신,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건 많은 부분에 있어서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필자 입장에서는 타입스크립트로 개발을 할 때 가장 공을 들이는 부분은 다름 아닌 세팅이다… (타입스크립트 세팅 너무 고민할 게 많아…) 이 글에서 보통 프로젝트를 제대로 프론트 개발자와 함께 시작하는 상황에서의 백앤드 개발자의 입장에서, 정리도 해둘 겸, 보통 고민하는 순서대로 한 번 세팅을 해보려고 한다.

완전히 모든 부분을 커버한 글이 아님을 미리 알립니다. 어느 정도는 JS, TS 기반 서버 구성을 해본 적 있는 분들이 보시기에 적합합니다.

일단 Typescript 서버사이드를 구성할 때, 아래 내용을 준비하는 편이다. 아래 내용들은 나름 독립적인 케이스가 많아서, 순서도 뭐 상관 없을 것 같고, 필요에 따라 선택해서 볼 수 있을 것 같긴 하다.

자세히 보기
서버리스 배포 베스트 프랙티스(번역)

서버리스 배포 베스트 프랙티스(번역)

written by Fernando Medina Corey

이 튜토리얼의 대부분을 만들기 위해서는 Serverless Framework’s의 대시보드에 로그인 해야 한다: https://dashboard.serverless.com.

본인은 글을 모두 읽은 다음에 이 주석을 달고 있다. 베스트 프랙티스를 실행할 방법을 알려준 다음 Safeguard라는 Serverless Framework의 대시보드, 기타 등등 대시보드 기능으로 베스트 프랙티스를 실행하는 내용을 알려준다. 문제를 먼저 알려주고 해결하고 싶으면 우리 제품을 써보는 게 어떻냐는 약팔이 느낌도 있긴 하다.

자세히 보기
콜로나 맵(코로나 원격의료 정보앱) 만들기 기록

콜로나 맵(코로나 원격의료 정보앱) 만들기 기록

이번에 팀에서 코로나 원격의료와 관련한 정보 제공 앱을 만들게 되었다. 질병과 관련해서 형세가 급하게 흘러가다 보니, 원격 의료와 의약품 배달이 한시적으로 법적 제한이 풀리게 되었고, 원격 의료 및 의약품 배달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의료인들 자율적으로 따를 수 있게 했다. 해당 경험이 일반인들, 의료인들 모두 전무하다 보니,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정부 지침 정도만 있고, 일반인들은 그 조차도 잘 모르는 게 현실이었다. 우리 팀은 PWA로 빠르게 해당 정보를 제공해주는 앱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자세히 보기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npsb;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