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less 프레임워크 빠르게 배우기 (2)

Serverless 프레임워크 빠르게 배우기 (2)

지난 포스트에서 serverless의 기본적인 핵심 개념들과 그 중 Services까지 정리를 했다. 이번에는 Functions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Events까지 보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함수파트 내용이 복잡하고 많으니까 천천히 다시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음)

자세히 보기
Serverless 프레임워크 빠르게 배우기 (1)

Serverless 프레임워크 빠르게 배우기 (1)

인프라에 대한 걱정을 줄여주는 서버리스는 배우고 나면 정말 편하겠다고 생각한 지가 대충 한 3개월 정도 되어가는 것 같다. 처음 람다를 경험한 건 AWS 아마톤 행사에서 사용했는데, 배포가 정말 코드 한 줄로 이루어 지는 것을 경험하고 (같이 하신 분이 환경 구성을 정말 잘 해주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나중에 따로 프로젝트에서 꼭 써봐야지 했는데, 이제서야 점점 공부를 시작한다. 우선 람다에 대한 개념은 대충 알고 있으니 서버리스 배포를 편하게 도와주는 몇 서버리스 프레임워크 중에, 그 당시에 그나마 진입 장벽이 낮다고 추천 해주셨던 Serverless 라는 서버리스 프레임워크를 사용해보려고 한다.

일단 이 글은 AWS provider를 중심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할 예정이고, 내가 실습한 내용 보다는 Serverless에서 제공해주는 유저 가이드를 공부한 내용 위주로 정리할 생각이다.

자세히 보기
Docker로 개발 환경 구축하기 (2)

Docker로 개발 환경 구축하기 (2)

그 전 글은 여기에서 볼 수 있다.

이제 우리는 Docker 이미지를 다룰 수 있다. 이미지를 다루는 방법을 잘 모르는 상태라면 이전 글을 읽고 오는 편이 좋지만, 알고 있다면 더 준비할 내용 없이 바로 이 글을 읽어도 좋을 것 같다. 컨테이너를 다루는 방법은 이미지를 다루는 방법에 비해서 짧고 간단하다.

자세히 보기
Docker로 개발 환경 구축하기 (1)

Docker로 개발 환경 구축하기 (1)

현재 개발 동아리 팀에 다양한 OS로 인해 생기는 여러 문제들을 Docker로 힙하게 해결 하고자 Docker를 이용해 개발 환경을 구축 했다. 이후 동아리에서 Docker hands on 세션을 진행 하기 위해,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목표는 docker compose를 활용한 일반적인 백엔드 개발 환경을 구성해보는 것이고, 이번 편은 docker image까지 사용하는 방법을 확인해볼 예정이다.

자세히 보기
리눅스에서 Docker 명령어 sudo 없이 사용하기

리눅스에서 Docker 명령어 sudo 없이 사용하기

리눅스에서는 docker 명령어 앞에 항상 sudo를 붙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현재 계정을 docker 그룹에 추가하면 권한 문제가 해결된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sudo usermod -aG docker $USER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npsb;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