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를 위한 테라폼

초보를 위한 테라폼

서비스의 복잡도가 증가하면서 인프라를 어떻게 더 쉽게 관리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은 지속해서 증가했다. 정적인 상태와 안전한 코드로서 인프라를 관리하고 인프라에서 해야 하는 작업을 확장성있는 방식으로 구성하기 위해 개발자들은 인프라를 코드로써 표현하려고 했다. 이를 IaC (Infra as Code)라고 한다. 현재는 Terraform이 주류를 잡고 있는 듯 하다. 이 글은 IaC에 대한 이야기부터 테라폼의 얕은 이야기를 다룰 예정이다.

자세히 보기
DynamoDB Internals (2) - DynamoDB

DynamoDB Internals (2) - DynamoDB

지난 글에서 DynamoDB를 지탱하는 큰 축인 Dynamo 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봤다. Dynamo 시스템은 DynamoDB가 등장하기 한참 전에 설계되었지만 이름에서 쉽게 알 수 있듯 굉장히 깊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DynamoDB는 관리형 인프라 서비스로 제공되는 만큼 사람들이 더 쉽고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어떤 점이 다른지 알아보자.

자세히 보기
2021년, 개발 3년 차 회고

2021년, 개발 3년 차 회고

개발을 시작했다고 볼만한 시점부터 2022년 01월 01일 기준으로 3년이 채워졌다. 시작도 2019년 01월 01일부터 했기 때문에 3년을 딱 맞게 채웠다.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생일 기념으로, 그리고 매년 하는 일인 만큼 지난해 무슨 일들이 가장 유의미했는지 정리해봤다.

자세히 보기
DynamoDB Internals (1) - Dynamo

DynamoDB Internals (1) - Dynamo

아마존은 지구 규모 스케일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자신들의 요구와 가장 잘 들어맞는 범용적인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을 만들어냈는데 이 시스템이 바로 Dynamo이다. 시스템을 만들고 운영한 경험을 논문으로 발표했고, 이 논문은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 논문에 영향을 받아 오픈소스에서는 Cassandra가 개발되었고 AWS 서비스의 SimpleDB, DynamoDB를 만드는 기초가 되었다. DynamoDB의 구조가 완전히 Dynamo와 같지는 않지만, 뿌리가 되는 Dynamo 시스템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자세히 보기
Learning Go 간단 리뷰

Learning Go 간단 리뷰

이번년도에도 한빛 미디어의 나는 리뷰어다에 선정되어 매달 책 한 권씩을 읽을 수 있게 됐다. 3월에는 Learning Go 책을 받아서 보게 되었다. 이 글은 해당 책에 대한 간단한 리뷰이다.

자세히 보기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npsb;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