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의 복잡도가 증가하면서 인프라를 어떻게 더 쉽게 관리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은 지속해서 증가했다. 정적인 상태와 안전한 코드로서 인프라를 관리하고 인프라에서 해야 하는 작업을 확장성있는 방식으로 구성하기 위해 개발자들은 인프라를 코드로써 표현하려고 했다. 이를 IaC (Infra as Code)라고 한다. 현재는 Terraform이 주류를 잡고 있는 듯 하다. 이 글은 IaC에 대한 이야기부터 테라폼의 얕은 이야기를 다룰 예정이다.
서비스의 복잡도가 증가하면서 인프라를 어떻게 더 쉽게 관리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은 지속해서 증가했다. 정적인 상태와 안전한 코드로서 인프라를 관리하고 인프라에서 해야 하는 작업을 확장성있는 방식으로 구성하기 위해 개발자들은 인프라를 코드로써 표현하려고 했다. 이를 IaC (Infra as Code)라고 한다. 현재는 Terraform이 주류를 잡고 있는 듯 하다. 이 글은 IaC에 대한 이야기부터 테라폼의 얕은 이야기를 다룰 예정이다.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다가, 이중 우선순위 큐 문제를 만났다. 문제 시간 제한이 6초라고 되어있길래, Binary Search Tree(BST)로 구현하려고, HashMap
을 사용했다. 다만 만든 트리 구조가 최악의 경우 더하는 연산이 O(n)이기 때문에, 시간 초과가 났다. AVL이 생각이 났는데, 어떻게 구현하는지를 알지 못해 알아보던 도중 자바에 TreeMap 구조가 Red-Black Tree(RBT)라는 걸 알게되었다. TreeMap 이전에 RBT를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어 위키트리 내용을 최대한 풀어서 정리했다.
리액트 프로젝트를 새로 시작하기 앞서,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서 사용되는 UI Kit을 만들기 위해서 두 가지 시도를 했던 내용에 대해서 적어보려고 한다. 한 가지는 Private Package이고, 다른 한 가지는 StoryBook이다.
RxJS Operator 01 - Creation, Filtering
RxJS에 대한 개념과 동작 방식 등을 간단하게 알아봤고, RxJS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 Operator 사용에 대해서 몇 가지만 간단하게 뽑아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이번 글에서는 Creation Operator
, Filtering Operator
를 확인 보려고 한다.
Creation Operator
는"rxjs/operators"
에서 가져오지 않고,"rxjs"
에서 가져와서, 그냥 생성 함수라고 설명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npsb;Update my browser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