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코드를 짤 때, 실제 메모리 위치를 알고 코드를 쓰지 않는다. count := 10
이라는 코드를 쓰면, count
라는 변수가 메모리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고 짜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려면 메모리에 올려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우리가 짠 코드가 실제 메모리에는 어떻게 올라가고, 어떻게 주소를 찾아가는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우리는 코드를 짤 때, 실제 메모리 위치를 알고 코드를 쓰지 않는다. count := 10
이라는 코드를 쓰면, count
라는 변수가 메모리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고 짜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려면 메모리에 올려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우리가 짠 코드가 실제 메모리에는 어떻게 올라가고, 어떻게 주소를 찾아가는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HTTPS를 잘 이해해보자. HTTP는 TCP 연결 이후 평문으로 요청을 전달한다. 즉, 중간에 탈취되었을 때 내용이 모두 노출된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HTTPS를 사용한다. 어떻게 암호화 하는 건지 정리해봤다.
최근에 타입스크립트와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주제로된 책의 베타 리더로 활동하면서 관련된 책 한 권을 읽었다. 책은 그야말로 JS, TS, Functional Programming에 대한 내용들이었는데 그 중에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이번 기회에 처음 접하게 되어서, 책을 통해 새로 배우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한 내용들은 간단하게 정리를 해두려고 한다.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npsb;Update my browser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