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창업 1년 차 회고

2024년, 창업 1년 차 회고

2019년 1월 1일 개발 공부를 시작하며 이 블로그를 쓰기 시작했고, 벌써 6년째이지만 이제는 창업가와 개발자 사이에 어중간한 위치에 있는 사람으로서 ‘창업 1년 차’라는 이름으로 회고를 처음 써본다. 제목을 이렇게 정하니까 굉장히 색다른 느낌이다. 작년의 나는 꿈을 확정하고 꿈을 이루기까지 나에게 방해가 되는 요소를 제거하는 한 해를 보냈고 이번 해는 실제로 창업에 뛰어들었던 첫 번째 해였다. 창업하면 일반적으로 정말 대부분의 영역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상태가 되어 엄청난 성장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이번 해는 배운 게 너무 많아서 추리는 과정이 더 오래 걸렸다. 추려낸 것들을 기록하지 못해 아쉬울 정도로 재밌는 한 해를 보냈다.

자세히 보기
2023년, 개발 5년 차 회고

2023년, 개발 5년 차 회고

2019년 1월 1일에 개발 공부를 시작하면서 블로그를 시작했는데, 벌써 이 블로그도 5년째 이어졌다. 이번 해는 나에게 꽤 특별한 해였다. 작년 12월부터 시작된 실존적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어 앞으로 나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무엇을 하는 것이 나의 꿈을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일지 고민도 많이 하고 결론도 나왔다. 먼 미래에 뒤돌아봤을 때 2023년에 내렸던 결정과 내 사고 방식의 변화로 인해 2023년은 내 인생의 챕터를 가르는 해라고 판단할 것이 분명하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은 한 사람이 인생의 한 챕터를 여는 시작점을 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자세히 보기
대규모 시스템 디자인 Part 1 강의

대규모 시스템 디자인 Part 1 강의

이번에 제가 시스템 설계와 관련된 강의를 만들었습니다. 대규모 시스템 디자인은 대규모 시스템을 만들며 공통적으로 만나게 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유명한 시스템을 공부하면서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배웁니다. 강의 바로 가기

Go Package Architecture - 이론편

Go Package Architecture - 이론편

Go에서 다른 언어와 다르게 Directory(디렉토리)는 굉장히 중요하다. 많은 다른 언어들은 실제 디렉토리의 역할 이상을 하지는 않지만, Go는 Package(패키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프로그램이 어떻게 작성될지 결정하는 한 부분이다. 그 때문에 Go에서 디렉토리 구조를 어떻게 할지는 패키지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와 꽤 유관하다. 이번 글에서는 Go를 사용하면서 어떤 형태의 디렉토리와 패키지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좋을지 혼자만의 고민을 정리했다.

자세히 보기
Scaling Memcache At Facebook

Scaling Memcache At Facebook

이 논문은 Planet Scale 서비스 중 하나인 Facebook(이하 Meta, 메타, 페이스북)이 어떻게 Memcache를 사용했는지에 대한 논문인데, 이 글은 이 논문 내용 중 “확장되는 스케일에서 어떻게 Data Consistency를 유지 했는가?”에 집중해 정리했다.

논문에서는 MemcacheMemcached 용어를 철저히 분리한다. 전자는 분산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 자체를 의미하고 후자는 실행되는 서버, 바이너리 자체를 의미한다.

자세히 보기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npsb;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