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aling Memcache At Facebook

Scaling Memcache At Facebook

이 논문은 Planet Scale 서비스 중 하나인 Facebook(이하 Meta, 메타, 페이스북)이 어떻게 Memcache를 사용했는지에 대한 논문인데, 이 글은 이 논문 내용 중 “확장되는 스케일에서 어떻게 Data Consistency를 유지 했는가?”에 집중해 정리했다.

논문에서는 MemcacheMemcached 용어를 철저히 분리한다. 전자는 분산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 자체를 의미하고 후자는 실행되는 서버, 바이너리 자체를 의미한다.

자세히 보기
HTTP/3에 대하여

HTTP/3에 대하여

HTTP/2가 나온 지 얼마나 됐다고 벌써 HTTP/3 도입 사례가 들리기 시작할까? 네이버는 검색 서비스에, 토스는 페이먼츠에 HTTP/3을 도입했다고 한다. HTTP/2는 2015년 5월에 릴리즈됐다고 한다. 약 7년 전이고 생각보다는 오래됐지만 HTTP/1.1이 버텨온 기간보다는 짧다. HTTP/3은 무엇을 해결하려고 했고, 어떻게 해결했을지 정리했다.

자세히 보기
유난한 도전과 훌륭한 조직

유난한 도전과 훌륭한 조직

그리스에서 “유난한 도전“이라는 책을 읽었다. 유난한 도전은 토스팀이 달려왔던 길을 얘기하는 책이다. 토스팀은 외부인으로 봤을 때 정말 멋지다고 생각하던 팀 중 하나이다. 이번 책이 나왔을 때, 내부인이 전달하는 현란한 물장구 이야기를 기대하며 책을 구매했다. 책은 생각보다 만족스러웠으며, 이 글은 그 책을 읽고 난 뒤 좋은 조직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기 위한 글이다.

자세히 보기
2022년, 개발 4년 차 회고

2022년, 개발 4년 차 회고

개발을 시작한 지 4년, 블로그를 시작하고 4번째 회고가 되었다. 올해는 학생이 아닌 상태로 상태 전환이 발생하기도 했고, 어느 순간부터 마음속에 있던 삶의 마일스톤 중 하나를 해결한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지난 21년 회고를 거의 1분기가 끝나고 썼던 터라 이번 회고가 좀 짧게 느껴지긴 하지만 아무튼 그 이후(혹은 일부 포함해서) 어떤 일들이 있었나 정리해보려고 한다.

자세히 보기
etcd deep dive - Client Model

etcd deep dive - Client Model

etcd를 사용하는 개발자들은 etcd가 공식적으로 제공해주는 클라이언트를 사용해 서버에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Go로 만들어진 클라이언트를 잘 관리해주고 있어서 보통은 이 클라이언트를 쓰는 것 같다. 지금 진행하는 프로젝트 역시 Go 클라이언트를 통해 etcd에 접근한다. 이번 글은 클라이언트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알려주는 Learning의 글을 번역하고 공부했던 내용을 간단히 정리했다.

자세히 보기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npsb;Update my browser now

×